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최수빈
처음엔 ‘유튜브가 책을 집어삼킨다’라는 자극적인 제목과 최근에 강조되고 있는 단어 ‘리터러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 끌려 읽기 시작한 책이었는데, 읽다보니 과연 이들이 하고자하는 말은 무엇이며, 글과 텍스트가 리터러시에게 그리고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에 대해 집중하여 읽은 것 같다.
내용은 리터러시가 어떤 것이고, 텍스트와 영상이 어떻게 다르며 리터러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현대 사회 특히 교육에 있어서의 리터러시에 대해 담고 있다. 이곳에서의 리터러시는 전공에서 자주 듣던 그런 표현이 아니라 말귀, 소통, 관계 등을 모두 포함하는 단어로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살아온 환경, 세대, 관심사에 따라 달라지기에 정답이란 것이 존재하지 않고 스펙트럼으로서 이해되는 존재였다. 이 대목에서 ‘난독증’, ‘책 좀 읽어라’와 같이 상대의 리터러시에 대해 비난하는 표현은 삼가야하는 말이 오래 기억에 남은 것 같다. 그리고 텍스트와 리터러시는 각각 영향을 주는 리터러시의 종류가 다르며 이에 따라 우리의 신체도 다르게 구축된다고 한다. 텍스트는 읽기의 호흡이 길어 장벽이 높은 매체이지만 자의성, 추상적, 구체성을 담을 수 있다. 반면, 영상은 호흡이 짧아 읽기에 대한 거부감을 만들수도 있지만 텍스와는 다른 멀티 리터러시를 기르는데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가 겪는 현실은 어떠한가. 정해진 지문을 읽고 독해하거나 정해진 답을 찾기 위해 단순히 암기하는 교과서에 한정된 리터러시 교육을 받아왔으나 사회에서는 사람과 상황간에 존재하는 관계를 이해하는 리터러시를 필요로 한다. 때문에 교육과 독서를 다른 존재로서 보고 행동한다는 것이다. 리터러시는 개인이 아닌 사회적 역량이지만, 우리나라는 이를 성과주의 중의 하나이며 개인의 역량으로 여기는 모습이 자주 보이기에 책을 읽으며 참 아이러니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였다.
책을 읽으며 계속 들었던 의문은 ‘책 제목에 낚인 것은 아닐까’하는 것이었다. 책 속에 유튜브와 책에 대한 이야기는 극 초반에 조금 드러낸 이후로 한번도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책을 끝까지 읽었을 무렵에는 저자들은 이미 영상과 텍스트는 각기 다른 매체이며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에 서로 대체되 수 없는 존재임을 알고 있었고 이러한 생각을 가조하기 위해서 역설적인 표현으로 제목을 이렇게 지은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영상을 보는 플랫폼 중에 대표적인 것이 유튜브라 이를 이렇게 표현한 것이라 말이다. 다른 가장 인상깊었던 점은 영상과의 특성과 비교하며 텍스트가 추상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다소 모순적인 특성이 양립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이에 대해서 여러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며 읽었기에 더욱 그러했던 것 같다.
내용은 리터러시가 어떤 것이고, 텍스트와 영상이 어떻게 다르며 리터러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현대 사회 특히 교육에 있어서의 리터러시에 대해 담고 있다. 이곳에서의 리터러시는 전공에서 자주 듣던 그런 표현이 아니라 말귀, 소통, 관계 등을 모두 포함하는 단어로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살아온 환경, 세대, 관심사에 따라 달라지기에 정답이란 것이 존재하지 않고 스펙트럼으로서 이해되는 존재였다. 이 대목에서 ‘난독증’, ‘책 좀 읽어라’와 같이 상대의 리터러시에 대해 비난하는 표현은 삼가야하는 말이 오래 기억에 남은 것 같다. 그리고 텍스트와 리터러시는 각각 영향을 주는 리터러시의 종류가 다르며 이에 따라 우리의 신체도 다르게 구축된다고 한다. 텍스트는 읽기의 호흡이 길어 장벽이 높은 매체이지만 자의성, 추상적, 구체성을 담을 수 있다. 반면, 영상은 호흡이 짧아 읽기에 대한 거부감을 만들수도 있지만 텍스와는 다른 멀티 리터러시를 기르는데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가 겪는 현실은 어떠한가. 정해진 지문을 읽고 독해하거나 정해진 답을 찾기 위해 단순히 암기하는 교과서에 한정된 리터러시 교육을 받아왔으나 사회에서는 사람과 상황간에 존재하는 관계를 이해하는 리터러시를 필요로 한다. 때문에 교육과 독서를 다른 존재로서 보고 행동한다는 것이다. 리터러시는 개인이 아닌 사회적 역량이지만, 우리나라는 이를 성과주의 중의 하나이며 개인의 역량으로 여기는 모습이 자주 보이기에 책을 읽으며 참 아이러니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였다.
책을 읽으며 계속 들었던 의문은 ‘책 제목에 낚인 것은 아닐까’하는 것이었다. 책 속에 유튜브와 책에 대한 이야기는 극 초반에 조금 드러낸 이후로 한번도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책을 끝까지 읽었을 무렵에는 저자들은 이미 영상과 텍스트는 각기 다른 매체이며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에 서로 대체되 수 없는 존재임을 알고 있었고 이러한 생각을 가조하기 위해서 역설적인 표현으로 제목을 이렇게 지은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영상을 보는 플랫폼 중에 대표적인 것이 유튜브라 이를 이렇게 표현한 것이라 말이다. 다른 가장 인상깊었던 점은 영상과의 특성과 비교하며 텍스트가 추상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다소 모순적인 특성이 양립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이에 대해서 여러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며 읽었기에 더욱 그러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