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꽃
이다은
이 책은 1905년, 대한제국 시기 러일 전쟁에서의 일본의 승리를 배경으로 시작한다. 일본이 조선을 강합하는 나라의 위기 속에서 사람들은 살기 위해, 또는 나라의 앞날을 위해,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해외 이민을 시도했다. 소설 <검은꽃>은 이러한 상황 속에 멕시코로 떠난 조선 이민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1905년 4월 5일 제물포항에서 영국 상선 일포드호를 타고 멕시코에 도착한 1033명의 사람들은 대부분 농민 또는 노동자이거나 몰락한 양반, 무당, 신부, 내시, 도둑, 그리고 대한제국 신식 군대의 군인 등이었다. 그들 중 어떤 이들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이민을 선택했고, 어떤 이들은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또 어떤 이들은 어렴풋한 희망적인 미래를 상상하며 일포드호에 올랐다.
그러나 멕시코에 도착한 그들은 에네켄(5~6년 정도 자라면 섬유를 뽑을 수 있는 식물) 농장에서 노예와 다를 바 없는 생활을 하게 된다. 채찍에 맞아가며 뜨거운 햇빛 아래에서 매일 12시간씩 에네켄을 따는 삶이었다. 사실 그들은 농장주에게 4년 동안의 계약을 조건으로 팔린 것이었다. 도중에는 그 생활을 견디지 못해 자살하는 사람과 살인자가 나오기도 했고, 모기와 벌레에 뜯겨 가면서도 대부분의 조선 노동자들은 악착같이 농장일을 했다. 하지만 그중에 농장주에게 옥수수와 급료를 올려달라는 요구를 하며 사람답게 대우해달라고 농장주에 집으로 쳐들어간 조선인들도 있었다.
이 책의 묘미이자 큰 특징 중 하나는, 등장인물과 그들의 특징이 많고 다양하다는 것이었다. 조선 출신 통역사 권용준, 몰락한 대한제국 황족의 가장 이종도, 그의 아들 이진우, 딸 이연수, 이외에 최선길, 박광수, 이정 등… 그들 중 한 사람도 배경이 비슷하거나 겹치는 사람이 없었고, 모두 소설의 실제 역사적 배경을 면밀히 보여준 인물들이었다고 생각한다.
책의 결말은 사실 어떻게 보면 참 허무한 결말이다. 인물 대부분이 상상치도 못했던 변화를 맞기도 하고, 죽음을 맞기도 한다. 그렇지만 결말과 상관 없이 이 책을 읽고 난 후 가장 많이 드는 생각은, 이 여러 인물들을 통해 작가가 보여주고자 한 일제강점기의 아픔이 상당히 다양하다는 것이다. ‘일제강점기’하면 ‘독립운동가’, 또는 ‘상하이’, ‘만주’ 등이 가장 먼저 생각이 났다. 적어도 나는 그랬던 것 같다. 은연중에 일제강점기의 역사적, 민족적 아픔과 설움을 어떠한 틀 안에서만 바라보았던 것 같은데, <검은꽃>을 읽으며 일제강점기의 아픔을 조선인의 이민이라는 주제를 통해 다양한 각도로 바라볼 수 있었다. 독립운동가 분들이 독립운동을 하며 겪었던 아픔과 설움, 가난과 더불어 독립운동에 발을 담그지 않았던 여러 사람들도, 국가의 위기와 숨 막히는 통제 속에 살기 위해서 뼈저린 아픔과 설움과 가난을 겪어야만 했다. 살고 싶다는 마음, 조금이라도 더 나은 삶을 살고 싶다는 그 마음이 그들을 낯선 하와이로, 멕시코로 이끌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통해 가장 많이 생각했던 점은, ‘나라면 어땠을까?’였다. 내가 이종도라는 인물이었다면 어땠을까. 온 가족을 이끌고 멕시코로 가서 결국엔 뿔뿔이 흩어져야만 했을까. 내가 이정이었다면 어땠을까. 멕시코에 내리지 않고 요시다와 함께 항해하며 요리사로 전 세계를 누볐을까. 그리고 나라면 일제강점기에 어떤 행동을 취했을까. 그 고민에서 한참을 멈추어 많은 생각을 했던 것 같다. 누구나 숨이 턱턱 막히는 총칼과 고문 등의 통제 속에 자유와 나은 삶을 원하는 마음은 똑같았을 것 같다. 그렇지만 그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취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었을지 아직도 잘 모르겠다. 결국 나의 그 고민은 이 소설 속 인물들을 보면서 그저 열린 결말처럼 고스란히 소설 맨 뒷 장에 놓인 것 같다. 그리고 역사를 배울 때마다 또다시 곱씹어보게 된다. 역사 속에서 과연 어떤 선택을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