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게 될 것
< 사랑은 원래 불안합니다.
> 그런걸 왜째서 7번이나 했어요?
< 은율님은 불안한데 왜 사랑합니까? (105쪽)
사랑은 원래 불안한 것, 그럼에도 사랑하는 것. 최진영 작가가 생각하는 사랑이 무엇인지 짐작할 수 있는 문장이다. 또 일편단심을 추구하는 은율이와 7번째 사랑과 결혼한 서진의 사랑 경험치 차이가 느껴져 웃음이 나오기도 했다.
> ㄴㅅㄱㄹㅎㄴㅇㄴㅇㅈㄱㅇㄹㅇㅂㅎㅅㄷ
> ㄴㅇㅈㅂㅎㅅㄹㅋㅅㅎㄷ
> ㅅㅈㅌㅈㄴㅈ (107쪽)
갑작스럽게 등장한 초성에 당황했지만, 은율이가 하고싶은 말이 무엇인지 꼭 알고 싶다는 생각에 열심히 생각을 해보았다. 직접 이 책을 읽고 내용을 추측해보면 좋을 것 같다. 각자의 해석이 다를테지만 나는 이 초성에 담긴 내용에 꽤 충격을 받았다. 내가 자연스럽게 사랑의 다양성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최진영 작가의 이야기에는 늘 다양한 사랑의 형태가 등장하기 때문에 방심해서는 안된다.
‘디너코스’에서는 각자의 삶을 치열하게 살아가다 아버지의 은퇴를 기념해 모인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이 이야기가 인상깊었던 것은 은퇴 이후의 삶을 ‘제2의 인생’이 아닌 ‘인생 후반전’이라고 하며 곧 펼쳐질 날을 불안함보단 기대감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아버지의 지혜로운 모습이 담겨있기 때문이었다. 그동안 살아온 날에 대한 미련이 있을지언정 후회하지 않고, 앞으로 살아갈 날에 불안이 있을지언정 두려워하지 않는 낙천성 아래 숨겨진 한 존재의 단단함을 느낄 수 있었다. 자신의 신념을 굳게 지키는 것이 얼마나 멋있는 일인지 체감했다.
‘차고 뜨거운’에서는 누구나 겪을 법한 가족 간의 부정적 이야기를 다룬다. 엄마의 이중성에 고통받는 자녀의 감정, 그와 대비되는 화목하고 따뜻한 다른 가정의 모습에서 느끼는 박탈감을 여실히 느낄 수 있다. 가족이 늘 같은 편이 아닐 수 있다는 다소 슬픈 사실과 그러한 상황에서 고군분투하는 누군가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이야기를 읽는 내내 마음을 불편하게 했다. 나에게도 있던 일이고, 일어날 수 있는 일이고, 내가 일으킬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을 항시 기억하며 살아가야겠다고 생각했다. 가족을 사랑하지만 사랑하지 못하는 이유가 하나쯤은 있을 것임을 안다. 하지만 나는 사랑의 이유를 조금 더 생각하며 그럼에도 사랑하는 사람으로 살아가고자 한다.
안과 의사가 경고하는 눈 건강에 치명적인 습관 39가지 (시력 저하, 녹내장, 백내장, 노안까지 예방하는 방법)
너에게 들려주는 단단한 말
어른의 어휘 일력 365 (글에 품격을 높이고 말에 우아함을 더해주는)
명화의 발견, 그때 그 사람
성공을 부르는 긍정의 한마디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우리의 민주주의가 한계에 도달한 이유)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우리의 민주주의가 한계에 도달한 이유)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우리의 민주주의가 한계에 도달한 이유)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우리의 민주주의가 한계에 도달한 이유)』는 민주주의가 처한 위기와 그 위기의 본질을 짚어주는데, 저자는 현대 민주주의가 겉으로는 다수의 의견을 반영하는 제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고 극단적인 소수에 의해 좌우되고 있다는 사실을 날카롭게 분석한다.
이 책은 단순히 민주주의의 위기를 비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저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다. 민주주의를 더 공정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정치적 참여를 활성화하고, 제도적 개혁을 통해 다수의 의견이 실제로 반영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다만, 이러한 개혁이 쉽지 않다는 점을 인식하고, 변화가 이루어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우리 스스로가 정치적 참여를 더욱 활성화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하게 전한다. 결국, 이 책은 민주주의라는 제도를 보다 건강하고 공정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과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독자들에게 강력하게 일깨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