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능을 키워준 나의 어머니

어머니가 자신에게 무언가 하기를 권유하면 잘 생각해보고 결정해라.
어쩌면 그게 너의 인생을 바꿔줄지도 모른다.

히비노식 하루3분 눈 건강법

요즘 사람들은 스마트폰, 컴퓨터 자주 보느라 눈이 쉴틈이 없다.
이 책을 보면 눈의 피로도가 어느정도 풀리고 심지어는 눈에 눈물이 맺힐 수도 있다.
즉, 안구건조증도 예방할 수 있다.

채식주의자 (한강 연작소설,맨부커 인터내셔널 수상작)

위 소설은 총 세개의 단편으로 이어진 연작 소설이며 단편마다 화자가 달라진다.
1. 채식주의자 –  주인공 영혜의 무난함이 좋아서 결혼한 남편. 어느날, 채식주의자를 선언한 그녀의 이상 행동으로 남편은 난감한 입장에 놓인다. 영혜의 친가 모두가 그녀를 질책하였고, 식사 자리에서 고기를 완강히 거부하는 영혜에 화가 난 아버지는 그녀의 입에 억지로 탕수육을 쑤셔 넣었다. 그녀가 다시 도로 뱉어내자, 아버지는 그녀의 뺨을 때린다.  그 후 그녀는 과도를 집어 들어 자신의 손목을 긋는다. 그 사건으로 영혜는 정신병원에 들어가게 된다. 남편은 이러한 그녀와 이혼하게 된다.
2. 몽고반점  – 영혜가 형부와 성관계를 하는 내용이다. 인물 감정, 행위 묘사가 디테일하다. 형부는 처제인 영혜와 성관계 동영상이 부인에게 발각되며 결국 가정이 파탄나게 된다. 형부는 결국 직업, 결혼생활, 아버지의 역할을 잃게 된다.
3.나무불꽃 – 결국, 영혜는 정신병원 폐쇄병동에 입원하게 된다. 가족 모두가 영혜를 등졌지만 언니만이 유일하게 자신을 돌봐준다. 그 형부의 부인이기도 하다. 병원에서 만난 동생의 상태는 의사와 간호사들도 혀를 내두를 정도로 심각하게 되었다. 모든 음식을 거부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호스로 음식물을 주입하려고 해도 그녀는 완강하게 몸부림치며 거부한다. 그녀는 시간이 흐를수록 심하게 말라갔고, 물구나무를 서는 일이 잦아졌다. 영혜는 자기 스스로를 ‘나무’라고 칭하였다.
이 소설을 처음 읽었을 때, 난해하고 추상적인 느낌이 들었다. 그만큼 독자에 따라서 반응이 다양하게 나올 수 밖에 없는 소설이다. 영혜가 채식주의자를 선언하게 된 이유에는 아버지의 폭력이 있었다. 어린시절 개가 영혜를 물었는데, 아버지는 이 개를 육질을 좋게 하기 위해 오토바이로 끌고 다니며 죽인다. 그리고 동네 사람들과 개를 잡아먹었다. 이러한 폭력적인 일들이 영혜에게는 부정적으로 각인되었다. 또한 결혼 후에는 단순히 고기를 거부한다는 이유로 아버지에게 뺨까지 맞게 된다. 아동학대라고 단순하게 주제를 말하는 의견도 있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몇가지 숨겨진 의미를 내 시각에서 들여다 보았다.
첫번째, 가족들은 채식만 하는 영혜를 강제로 자신들의 틀에 맞추려고 하였다.
영혜의 입장에서 본다면, 다수로부터 받는 억압과 폭력일 것이다.
두번째, 반대로 영혜의 가족들의 삶은 엉망이 되었다. 즉, 나의 독단적인 행동은 주변에 민폐를 끼치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었다. 영혜는 폭력을 싫어했다. 그래서 채식주의자 선언을 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녀는 가족들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하게 된 셈이다. 남편의 평범한 삶에 피해를 줬고, 형부의 제안을 거부하지 않아서 언니를 이혼하게 했다. 결국 형부는 선을 넘은 대가로 직업, 아버지의 역할 모든 것에서 배제되었다. 결국 서로가 서로에게 폭력을 행사하게 된 것이다.
소설 결말에, 영혜는 나무가 되려고 병동에서 물구나무를 선다. 물과 햇빛만으로도 살 수 있다고 말하면서. 아마도 땅에 팔을 딛고 다리는 하늘로 향하는 나무처럼, 소속된 경계를 초월하는 존재가 되려는 것은 아니었을까. 나무처럼 모든것을 아우르는 폭력적이지 않은 존재로 말이다. 나무는 모든 생명체와 유기적인 연결성을 지닌다. 즉, 나의 일상이 누군가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우리는 서로간에 연결되어있다는 것이다. 서로가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나 자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굉장이 상징적이고 은유적인 소설이었다. 보는 시각에 따라서 예술성이있다, 혹은 난해하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다만, 형부와 처제의 정사는 외설로 보여지는게 일반적이다. 표면적으로 이해했을 경우에 말이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그것이 이 소설의 가장 포인트였다고 생각한다. 형부와 처제의 장면은 이상하리만치 리얼하고 묘사가 자세했다. 거기에 수식어 등으로 아름답게 묘사하려고까지해서 의구심은 더욱 증폭됐다. 내 생각에는 한강 작가가 독자에게 불편한 감정을 느끼도록 의도했던 것 같다. 소설 속 영혜의 가족처럼 독자들도 영혜를 질책하고 불편하게 느끼게  의도한것이다. 또한 독자들의 이러한 심리는 영혜에게 폭력으로 다가 올 것이다. 이러한 정사 장면을 넣음으로써, 독자를 입체적으로 소설속에 참여시켯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개인적인 추측이다. 비유적이고 은유적인 상징들이 많아 난해했지만, 나의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었던 소설이었다.

직장이 없는 시대가 온다

어쩌면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이 우리가 하는 일의 대부분을 할지도 모른다. 어쩌면 직장이 없는 시대가 우리에게 이득이 될수도 있다.

내 옆에 있는 사람 (이병률 여행산문집)

제목: 여행의 의미

 

 

이 책은 단순히 여행 장소를 소개하는 것이 아닌 사진과 더불어 서정적 느낌을 준다. 그래서 너무 공감되거나 좋았던 부분을 남겨보려고 한다.

 

 

<사랑이랑 여행이랑 닮은 것은>

서투르게 남아 내가 보이게 해준다.

한번 빠지게 되면 잘 헤어나오지 못한다.

 

 

<여행은 인생에 있어 분명한 태도를 가지게 하지>

여행이 사람을 자라게 하기 때문에 자기 인생에서 분명한 태도를 갖게 한다.

사람은 원래 약하고 여리고 결핍되게 만들어졌다. 그래서 스스로 약한게 싫거나 힘에 부치는게 싫은 사람들은 불완전한 자신을 데리고 여행을 떠나게 된다.

 

 

<내 옆에 있는 사람>

내가 좋은 사람이 되지 않으면 절대 좋은 사람을 만날 수 없다.

내가 사람으로 행복한 적이 없다면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해줄 수 없다.

 

 

<큰 파도를 기다린다>

안 좋은 일이 생기면 생길수록 살고자 하는 길의 방향이 더 선명해지고, 살아가야 할 이유도 명백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