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피엔스]는 약 135억 년 빅뱅으로 물리학과 화학이 생겨나고 약 38억 년 전 자연선택의 지배 아래 생명체가 생겨나 생물학이 생기고, 약 7만 년 전 호모 사피엔스 종이 발전하여 문화를 만들고 역사를 개척하는 지점에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저자는 과거에서 오늘날까지 이 거대한 수만 년의 역사를 관통하여 인간의 진로를 형성한 것으로 세 가지 대혁명을 제시한다. 바로 약 7만 년 전의 인지혁명, 약 12,000년 전의 농업혁명, 약 500년 전의 과학혁명이다. 과학혁명은 여전히 발전하고 있는 역사의 한 부분이고, 농업혁명은 새로운 사실들이 계속 밝혀지고 있지만, 인지혁명은 여전히 많은 부분 신비에 싸여 있다. 끝나지 않은 발견과 빈약한 사료들을 근거로 펼쳐내는 상상의 언어들은 놀랍도록 이성적이며 빈틈이 없어 독자들을 몰입하게 한다. 저자는 역사 발전 과정의 결정적인 일곱 가지 촉매제로 불, 뒷담화, 농업, 신화, 돈, 모순, 과학을 지목했다. 인지혁명의 시작으로 불을 지배함으로써 먹이사슬의 최정점에 올라선 인간은 언어(뒷담화)를 통해 사회적인 공동체를 형성하게 되었고, 수렵채집인에 머물던 인간은 농업혁명을 통해 기하급수적인 인구증가를 경험한다. 늘어난 인구를 통제하는 강력한 무기는 종교, 계급, 권력 등 허구의 신화들이다(물론 수렵채집인 사회를 지배한 것도 역시 허구의 신화들이었다). 농업의 발달은 부의 증가와 정착생활로 이어졌고, 사람들은 돈을 맹신하게 되었으며, 돈의 맹신은 사회적 모순을 야기한다. 500년 전 과학혁명은 우리에게 이전 시기와 완전히 다른 세상을 열어보였다. “이 혁명은 역사의 종말을 불러올지도 모르고 뭔가 완전히 다른 것을 새로이 시작하게 할지도 모른다.”(19쪽) 40억 년간 자연선택의 지배를 받아온 인류가 이제 신의 영역까지 넘보고 있다. 인간의 지적설계로 만들어갈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사피엔스]는 이런 중요한 순간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 다가올 미래에 대해 어떤 전망이 있는지, 지금이 전망을 가져야 할 때라고 말한다.
저자는 사피엔스에게 상상하는 능력이 여타 다른 짐승들과 다르게 살아갈 수 있게 해주는 커다란 힘이라고 하였다. 나또한 이에 크게 동의하였다. 많은 지식들이 그저 글로된 정보일 뿐이라면 이는 우리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않는다. 정보란 우리가 응용하고 적용시켰을때야 비로소 빛을 발하는 것들 이다. 우리는 사피엔스가 처음 나타난 시절부터 상상하는 능력을 사용하여 정보를 응용시키고 기술로서 발전해 나갔다. 그것이 현대에 이르러서는 4차 산업혁명까지 이끌어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사피엔스에게 상상하는 능력이 없었다면 우리는 자연과 날씨처럼 주어진 상황에 그저 따라 사는 삶을 살고있으며, 우리가 항상 같이 사는 IT기술을 비롯한 생활속 많은 기술들은 상상도 하지 못한 채로 그렇게 수동적으로 삶을 영이하게 되었을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저자의 말에 항상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농업이 사피엔스의 삶을 더 나은 것으로 만들기 위한 개선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삶은 더 힘들어졌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나는 공감하지 않는다. 인간과 여타 다른 짐승과의 차이는 바로 상상과 생각을 하고 이를 발전으로 만들어내서 진보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진보의 첫 걸음인 농업혁명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인간은 그저 다른 짐승들과 마찬가지로 수렵채집활동을 하며 그저 생을 잇기위한 활동만을 하였을 것이다. 농업혁명으로 밀과 쌀에 얶매이게 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주식이라는 개념이 생기고 대규모 농업을하여 식량을 저장하고 삶을 영이해 나가는 방법 또한 만들었다. 이는 농업혁명이 가져온 아주 큰 변화이자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장을 통해서 여유가 생겼으니 인간의 사고는 그저 삶을 영이해 나가는 것 뿐만아니라 아주 다양하게 그리고 깊게 발전해 나갈 수 있었다. 그러므로 나는 농업혁명은 우리의 삶을 더 나은 것으로 만들어 준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만약 이러한 발전된 삶이아닌 그저 수렵채집활동을 하며 구석기 시대적인 삶을 사는 것이 더 나은것이라고 생각하는 자들에게는 농업혁명이 불행한 것 일수도 있지만 말이다.
또한 저자와 달리 역사에 방향성은 없다고 생각한다. 지금 현재 우리가 누리는 문화와 과학 기술들 그 많은 것들은 분명 과거부터 순차적으로 발전되어 온 것이 맞다. 그저 시간적 관점에서 단편적으로 본다면 말이다. 하지만 이 세상에서 그러한 것들은 그저 순탄하게 놓여져있는 길을 따라오듯이 발전한 것이 아니다. 우리는 때로는 넘어지기도하고 돌아가기도하고 다른길로가서 더 좋은 방향을 찾아내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나는 역사에 정해진 방향성은 없으며 우리 인류는 우리의 상상과 생각에 따라 우리가 맞다고 생각하는 길을 방향으로 정하고 각자의 역사를 이끌어 갔다고 생각한다. 이 길은 모두가 같지는 않다. 그저 각자의 입맛에 맞는 길을 찾아 걸어갔을 뿐이다. 물론 이러한 많은 길들을 멀리서 보면 하나의 줄기처럼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줄기는 서로 다른 많은 가지들로 이루어져있다는 것을 간과하면 안된다.
또한 나는 인간이 과학기술의 노예가 아닌, 인간은 과학기술 혁명의 주체라고 생각한다. 과학기술이 어디에 주로 사용되었는지 생각해보자. 우리와 항상 함께 생활하는 세탁기, 청소기, 자동차 등과 같이 우리가 숨쉬듯이 생각하는 그 모든 것들이 다 과학기술의 산물이다. 그렇다면 근본적으로 인간은 이것들을 왜 만들었는가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세탁과 청소, 이동등과 같은 행동들은 인간이 삶을 살아가기 위해 어쩌면 당연시하게 해야하는 것들이다. 과거에 우리 인간들은 이러한 행동들을 힘들게 도구없이 해왔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너무 힘들다. 그래서 인간은 생각했다. 어떻게 하면 우리가 더 편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당연한것들을 해결할 수 있을지, 그것에 대한 결론이 바로 저러한 과학적 산물들이다. 그러므로 나는 과학기술은 인간들이 자신들의 편의성을 위해서 주체적으로 이뤄낸 성과 라고 생각한다.
사피엔스라는 책은 작년 필수 교양시간에 처음 접한 책이다. 그때는 시험을 위한 수업의 교재로 사용되었기에 정독을 할 수 없었고 우리는 이번 상상독서 프로그램을 통해서 작년의 아쉬움을 덜어보고자 이 책을 선정하게 되었다. 사피엔스에서 저자인 유발하라리는 끊임없이 질문한다. 인간은 과연 인간의 생각대로 주체적으로 살아가는가, 모든건 계락에 의한 조종은 아닌가 등의 많은 질문을 던진다. 물론 저자의 말에 공감하기도하고 많은 깨달음을 얻기도 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가 누군가의 의한 삶을 살고 밀에게 조종당하고 과학기술의 노예로 살아가고 그렇게 수동적인삶을 주체적인 삶이라 착각하고 사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생긴다. 그래서인지 토론에서도 저자의 생각에 반대되는 의견을 많이 피력하게 된것 같다. 이렇게 친한 사람들과 의미있는 책을 읽으며 토론을 진행하니, 이 책에 대해 더욱 잘 알게 된듯하다. 매우 좋은 기회였고 다음에도 꼭 다시 참여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