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고 나서 기억에 남는 철학가가 3명이 있어 그들을 주제로삼아 독후감을 써보겠다.
<에픽테토스처럼 역경에 대처하는 법>
우리는 너무 자주 자신의 행복을 타인에게 맡긴다. 타인이 우리의 마음을 지배하게 한다. 그들을 몰아내야 한다. 세상을 바꾸는 것보다 스스로를 바꾸는 것이 훨씬 쉽다.
“해야할 일을 해라. 그리고 일어난 일이 일어나게 두라” 우리는 외부의 목표를 내면의 목표로 바꿔 실망에 대비할 수 있다.
스토아학파는 사고방식을 바꿈으로써 자신의 느낌도 바꿀 수 있다고 말한다. 고난에 대한 우리의 반응이 자동으로 따라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내리는 선택임을 깨달아야만 더 나은 선택을 내리기 시작할 수 있다.
한 부원은 스토아 사상이 좋다고 말한다.‘현재에 집중할 것’이라는 슬로건의 스토아 사상이 좋다하였으며 나 역시 타인에 휘둘리지 않고 스스로 바꾼다는 견해를 가진 점에서 마음 깊이 와닿아 좋다고 생각한다.
<보부아르처럼 늙어가는 법>
노화는 기존의 특성을 더욱 증폭한다. 나이 들수록 더 강렬한 형태의 자기 자신이 된다.
보부아르는 우리의 기투가 영원히 다른 사람들의 기투와 부딪힐 거라고 경고했다. 나의 자유는 타인의 자유와 얽혀있다. 우리는 타인이 자유로운 만큼만 자유롭다.
나이 든 사람에게는 선택지가 있다. 보부아르의 말처럼 노년이 천천히 죽어가는 암울한 시기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노년은 커다란 기쁨을 느끼고 창의적 결과물을 내는 시기일 수 있다. 가장 좋은 사례가 바로 시몬 드 보부아르다.
나이가 들면 통제에서 수용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한다. 수용과 체념은 다르다.
이 내용을 읽고 나의 어린 시절이 떠올랐다.내가 어릴적은 다른사람을 생각하는 시야가 확장되지 못한 터라 관련있는 사람과 나만 늙어간다는 것에 중점을 둬 정말 암울하게 생각하였다.하지만 점점 자라면서 모든사람이 똑같이 늙어가고 늙어간다는 것이 불변의 이치라는 것을 깨닫게 된 후는 정말 당연한거라 생각이 들어 받아들이게 되었다.다른 부원들의 의견도 들어보니 다 자연의 이치이며 당연한 것이라 나와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몽테뉴처럼 죽는 법>
몽테뉴는 삶을 잘 살아내지 않고서 잘 죽을 수 없었고, 자기자신에 대해 잘 알지 않고서 삶을 잘 살아낼 수 없었다.
죽음의 해결책은 더 긴 삶이 아니다. 절망의 해결책이 희망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다. 죽음과 절망 모두 같은 약을 필요로 한다. 수용이다. 죽음에 대한 수용이기도 했지만, 삶에 대한 숭용이자 자기 자신에 대한 수용이기도 했다. 자신의 긍정적인 성격에 대한 수용이자, 자신의 결점에 대한 수용이었다.
죽음의 존재를 인식하면 삶을 더 풍성하게 살 수 있다. “새로 시작되는 매일매일이 너의 마지막 날이라고 확신하라. 그 뜻밖의 시간들을 감사하는 마음으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니.” 부원 중 한명은 이러한 내용이 흥미롭다 말하였다.그 이유는 몽테뉴는 자기 자신을 가장 소중하게 생각했으며, 그걸 확장 시키는 과정에서 죽음이라는 주제를 선택했기 때문이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