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력은 보는 것이다
무엇을 하는가 연습을 할 때도 그에 맞는 목적을 가지고 연습을 하는 것이다 목적이 없다면 내가 통제를 못한다는 것이고
통제를 못한다면 더 나아지지 않는 한계에 도달한 것이다. 무엇을 하던지 목적 의식을 가지고 해야 한다.
만 시간의 법칙에서 만 시간을 해서 성공하는 것이 아니라 그 만 시간을 어떻게 무슨 목적으로 하는지 관건이다.
목적 의식이 없는 연습, 즉 방법을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연습하는 행위는 이미 자리 잡은 의식 작용을 더욱 굳힐 따름이다.
따라서 목적이 있는 연습으로 방식을 바꿔야만 기술에 대한 새로운 정신 활동 체계를 획득할 수 있으며 자신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창의성 : 소재, 문지기, 개인이라는 세 가지 요소는 개인이나 작품이 창의적이라는 호칭에 어울리도록 조율 되어야 한다.
친숙성과 색다름의 균형을 잘 타자
“아하” 라는 창의력이 나타났을 때에는 3가지의 답이 있다.
첫 번째
샤워 순간 우뇌가 해답을 가지고 있어도 죄 뇌가 밀어낸다 그래서 정보를 논리적으로 처리하는 좌뇌가 약해야만 우뇌가 해답을 제시한다
두 번째
조합이다. 하나 뿐인 개념이 만족스러운 답을 줄 수 없다는 사실을 아는 우뇌는 무의식적으로 복수의 개념을 연결하기 위해 작동한다.
그래서 효과적인 해결책이라고 여겨지는 것을 한 줄로 꼬아낼 수 있을 때 우뇌가 활성화 된다.
이것이 천재의 번갯불처럼 갑작스러운 두뇌의 폭발 현상이다.
세 번째
계기이다. 어떠한 순간에 무언가를 보고, 겪으며 자신이 느낀 것에 의한 순간의 인연이다
이 세가지는 모두 평범한 사람으로서는 의식하기 어려운 인식의 수면 아래서 일어난다.
그래서 신에 의해 벌어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마법이 아니라 생물학이다.
“아하”라는 순간은 평범한 인지 과정일 뿐이지만 그 결과는 놀랍다
글을 잘 쓸려면 모방부터 시작하라 프랭클린의 메소드처럼 먼저 목적이 있는 글을 쓸 때 그 패턴과 구조를 찾자
그것에 맞추어 글을 써라 그러면 하다 보면 점 점 더 나아지는 걸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모방은 나쁜 것이 아니다.
지금 존재하는 대부분의 창작물들은 다 모방을 해서 만들어진다
아이디어를 다듬으려면 개념화 > 압축 > 큐레이션 > 피드백이 다 필요하다 어느 것 하나라도 없으면 안된다.
성공은, 천재가 무언가를 떠올리는 그 순간이든, 창의성 들은 다 내가 천천히 쌓아 올려나가는 것이다.
모든 천재들은 신으로부터 개시를 받았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 천재들은 그 누구보다 열심히 하고 무언가를 해도
그 목적에 맞는 의식을 하며 했다 성공은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고 고비를 힘겹게 넘기고
그 전에 성공하셨던 사람들의 패턴을 찾아서 공부하면 나도 성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겠다.
성공하는 것에는 패턴이 있다 그것을 찾아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