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 구성이 it공학부가 2명이어서 다른 조원의 배려로 공학 분야에 관련된 책을 선택하기로 했다. 물론 공학부가 아닌 조원이 있고 네 번의 만남 동안 깊은 내용의 책을 읽기는 어려울 것 같아서 쉽지만 현재 상황과 맞닿아 있는 책을 선정하기로 했다. 조원들과 함께 책을 찾아보던 중 이 책이 평점도 좋고 현 상황과 충분히 맞닿아 있다고 느꼈으며 책 소개에 나와있는 페이스북과 구글이 친숙하게 느껴져서 이해하기 쉬울 것 같아서 이 책을 선정하였다.
책의 앞부분에 나와 있는 내용 중 인종차별에 대한 내용과 범죄자의 가석방에 대한 내용은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사람들은 알고리즘을 보고 그것을 수용하는 경우가 많다. 의견을 낼 수도 있고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도 있지만, 글의 종류에 따라 그럴 수 없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그 글이 기업에서 뽑고자하는 인재상만을 적은 모집 공고라면 더더욱 그렇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구직 사이트에서 보여주는 글을 그대로 수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글을 알고리즘이 사람마다 다르게 보여주게 된다면 일부 사람들은 기회를 잡지 못할 뿐더러 그런 기회가 있었늕 알 수도 없게 된다. 그리고 가석방에 대한 문제는 좀더 심각하게 다루엊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람의 주관을 배제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사용한다고 하는 데, 나는 이러한 부분에서는 사람들의 주관적인 판단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알고리즘은 학슴된 데이터를 이용한다. 만약 범죄자가 가석방을 위해 의도적으로 교화된 행동을 보여준다면 알고리즘은 이것을 알아챌 수 있을까? 일단, 나는 알아채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라는 말이 있다. 누군가를 속이는 것이 굉장히 익숙한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들이 과연 알고리즘을 속이는 것이 불가능할까?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을 판단할 때 그 사람의 시선, 말투, 어조 등등 알고리즘보다 많은 기준을 사용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범죄자의 가석방에 대해서는 또 다른 피해를 막기 위해서 평소보다 더 많은 기준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책에 나온대로 알고리즘이 가석방에 적합한지, 부적합한지를 나타내어 줄 수는 있지만 결국 최종적인 결정은 사람이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 생각한 것은 세상이 생각보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의 원서가 나온 2018년을 기준으로 현재까지 4년정도 흘렀을 뿐인데 책의 사례들이 굉장히 오래 전에 있었던 일처럼 생각된다. 3개월이면 세상이 바뀐다는 말이 좀 실감이 되는 것 같았다.
책의 전체적인 느낌은 어려웠다. 가볍게 읽는 내용보다는 전문적인 내용이 많았다.알고리즘과 빅데이터는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분야라고 생각해왔었는데 책을 읽고 교수님께 설명을 듣다보니 꼭 그렇지 많은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오히려 약간 부정적인 생각을 갖게 되었다. 앞으로 일상생활에서 내 개인정보나 데이터에 대해 좀 더 신경을 써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