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금 떠나온 세계 (김초엽 소설집)
나는 이 책이 ‘사랑’과 ‘외로움’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기계나 인공지능 등 과학적인 요소를 통해 차갑고도 외로운 정서를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동시에 그 차가움 속에 잠재된 어떤 따뜻한 사랑도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은 미래 과학 쪽의 요소를 많이 가졌다. 그래서 더 흥미롭고 술술 책을 읽어 나갈 수 있었다. 판타지와 감성 소설이 섞여 큰 흥미를 느낄 수 있었다.
1인칭을 주로 사용하지만 매 챕터마다 글의 구성이 비슷하지 않았다. 어떤 챕터는 편지의 형식이었고, 어떤 챕터는 일기 같은 구성이었다. 다양한 구성과 가양한 연출이 책의 재미를 더 크게 만들어준 거 같다.
허클베리 핀의 모험 (Classic,세계문학전집 6)
논리퀴즈 매뉴얼 4.0 (평범한 두뇌를 위한 PSAT언어논리 기본서,논리학 개념 및 테크닉 총정리)
나는 무조건 합격하는 공부만 한다 (26살, 9개월 만에 사법시험을 패스한 이윤규 변호사의 패턴 공부법)
당장 어떤 시험을 준비할 일은 없다. 하지만 사법고시를 9개월만에 패스한 사람이라면 무언가 본받을 점이 있지 않을까하고 책을 펼쳤다. 아니나 다를까 저자에게서 배울 점을 많이 발견하였다.
먼저 ‘긍정’과 ‘낙관’에 대한 저자만의 정의가 인상 깊었다. 저자는 시험 공부 계획을 항상 정상적인 속도의 계획과 조금 느슨한 계획, 두가지를 준비했다고 한다. 느슨한 계획은 자신이 아프다거나 의욕이 없거나 무슨 일이 생겼을때를 대비해 세워둔 것이다. 자신이 항상 의욕이 넘치고 컨디션이 최상일 수는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것을 대비한 것이다. 이렇게 하지 않는다면 그동안 사정으로 인해 밀린 공부량에 압도되어 손 놓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저자는 이런 공부하기에 최악의 상황까지 고려하여 계획을 짰다. 이렇게 최악의 상황을 생각해보고 그것을 대비하는 것. 이것은 긍정이다.
낙관은 의욕이 넘칠 때 무리한 계획을 세우고 자신은 무조건 이것을 해낼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렇게 했을때의 결과물은 다들 알것이다. 3일하고 없었던 일이 되어버린다. 나 또한 항상 좋은 습관을 들이기 위해 노력했지만 이 낙관으로 인해 ‘습관 만들기 프로젝트’가 몇번이나 엎어지는 걸 지켜봐야했다. 하지만 이제는 어디를 가야한다거나 아프다거나 할때의 상황(즉, 습관을 행하기 최악의 상황)도 대비하여 습관 계획을 세워봐야할 것 같다. 즉, 긍정이라는 것을 해봐야겠다.
그리고 저자는 또다른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준다. ‘점수 취득, 시험 합격’이 아닌 ‘훌륭한 수험생’이 목표가 되어버버리는 수험생들의 이야기다. 수험생의 본래 목적은 당연히 시험 합격이어야 한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이것보다는 자신이 오늘 일찍 일어났는지 충분한 수면 시간을 가졌는지에 꽂혀집착한다고 한다. 말그대로 자신의 ‘성실함’에 매몰되는 것이다. 나는 이것을 보며 자기계발하는 일반인들의 모습과도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자기 계발을 통해 더 나은 아웃풋을 내고 어쩌면 이런 아웃풋을 통해 더 많은 돈을 벌고 싶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아웃풋을 더 잘낼 수 있는 방법을 찾거나 돈을 더 잘 벌 수 있는 행위를 해야한다. 그런데 어느순간부터 미라클 모닝, 찬물 샤워 같은 것들이 목적이 되어버려 이것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비슷하지 않은가?
마지막으로 저자는 집중에 대해 이야기해준다. 자신의 집중력을 올리라는 그런 조언들과는 사뭇 다른 조언을 해준다. 첫번째는 유혹거리는 없애라는 것이다. 여기까지는 많이 들어본 이야기이다. 두번째는 ‘과하다고 생각될 정도로’ 쉬라는 것이다. 많이 쉬라고? 그래도 되나? 집중, 공부는 본능에 반하는 행위이다. 이렇게 자신을 몰아붙이고 난 다음에는 본능을 충복시켜줘야한다. 그런데 유튜브 영상 하나도 10분이 넘어가는 것이 많은 데 5~10분만 쉰다면 영상은 중간에서 끊기고 본능을 자극 하는 것에서 끝난다. 이렇게 되면 공부를 다시 시작했을때 다음 내용이 궁금해 더 집중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럴때는 본능이 다 충족되도록 확 쉬어줘야한다. 그래야 뒷 공부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아 더 집중을 잘 유지할 수 있다. 실제로 저자는 쉬는 시간에 만화를 보는 시간을 3시간으로 잡았다고 한다. 그냥 다 봐버려서 더이상 궁금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남들은 집중력에 대한 문제를 지적할때 저자는 차라리 하고 싶은 것을 다 해버리고 공부로 돌아오라는 말이 예상 밖이었고 나름 유익했던 것 같다.
시험에 대한 직접적인 조언이 많았지만 그래도 중간중간 시험을 준비하지 않는 사람도 참고할 수 있는 조언들이 많아서 좋은 책이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