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신은, 당신이 누군지를 말할 수 있습니까? “ – p.165
“ 그리고 마야는 의혹이라는 이름을 지닌 이물의 먹이가 되어 혼란의 위벽
안에서 녹아가고, 존재하지 않는 모든 것들과 한 몸을 이룬다. 부재야말로
세상에 존재하는 유일한 것이자 모든 것이다. “ – p.210
“ 인생에서
한 번, 그것이 비록 꿈속이더라도 명료함과 달콤함을 끌어안아본 사람이라면, 도래하는 불확실과 예약된 무미함 속에서 살기 어려워진다. 삶의 당도와
명도를 올리기 위해, 인슐린 부족으로 혼수상태에 빠질 때까지 밑도 끝도 없이 설탕을 퍼서 주둥이에 들이붓고, 눈이 멀 때까지 빛을 응시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렇다면 결국 …… 꿈 증상을 그대로 앓으면서 사는 것과 큰 차이가 난다고 할 수 …… 있나? “ – p.111
‘상아의 문으로’는 꿈이 현실로 출몰하여 사람들의 일상을 장악하는 ‘꿈 증상’이 도시에 질병처럼 퍼져 있는 상황에서, ‘진여’라는 인물이 왜 꿈 증상이 자신에게 일어나는지 등을 찾아가는 내용을 담은 책이다.
처음 읽을 때는 문장들이 길고 표현들이 난해해서 어렵게 다가왔다. 하지만 우리가 꾸는 꿈들이 그 어떠한 맥락과 논리가 없듯이 그저 지나치듯 읽어나가며 소설의 흐름 속에 나를 차츰 맞춰가자 소설 속 등장인물들과 함께 깊은 꿈으로 빠지는 듯한 느낌이었다. 현실을 위협하는 ‘꿈’이라는
독특한 소재와 구병모 작가의 신선한 묘사들로 뒤로 갈수록 재미있는 책이다.
책에는 비유적 표현들이 상당히 많이 등장한다. 자주 나오는 숫자, 인물들의 특정 행위, 인물들 주변의 각종 사물들, 주변환경 묘사 등들이 곧 무엇을 의미하는지와 등장인물들의 존재에 대해서 고민하는 시간들이 오히려 책을 읽을 때보다 흥미롭게 느껴졌다. 무엇보다 ‘꿈‘이라는 소재 자체가 가진 모호함이 있어서 독자에 따라 해석도 많이 달라질 수 있을 것 같다. 또 이 소설은 전반적으로 철학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살면서 한번쯤 시간을 들여 생각해볼만한 질문들을 스스로에게도 던져보는 시간이 되어 의미가 깊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