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불변의
법칙은 리더십의 법칙에서 재원의 법칙까지 총 22개의 마케팅 법칙을 다루고 있다. 원하는 분야나 생각나는 브랜드를 떠올리며 읽었더니 생각보다 단숨에 읽게 되었고, 마케팅적인 사고를 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나는 22개의 법칙 중 라인 확장 법칙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처음에는
수익성이 아주 높은 하나의 제품에 단단히 초점을 맞춘다. 그러다 다음 순간 단단하던 집중력이
여러 제품으로 분산되고 그 회사는 손해를 입는다. 분명한 사실은 어떤 영역 이건 리더 브랜드는
라인 확장을 시도하지 않은 브랜드다. 미래에 우리가 들어가고 싶어할 가능성이 있는 시장까지
죄로 아닐 수 있는 큰 천막에 지어야 하지만 천막을 세울 지역을 고르는 일 이 훨씬 더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내가 관심있게 보는 OTT시장에
비교분석해 보기로 했다. 현재 OTT시장의 경쟁이
매우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카카오는 3년간 3000억을 투자해 카카오 OTT를 확장할 예정이며, 애플도 애플TV플러스, 심지어는
쿠팡까지도쿠팡플레이를 통해 OTT를 출범시켰다. 카카오, 애플, 쿠팡의 이러한 라인확장은그들에게 득일까? 실일까? 이들이 OTT 계의 1등을 달리고 있는 넷플릭스를 이기기 위해서는 어떠한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해 고민해보게 되었다. 일단 쿠팡
플레이에 경우는 그들에게 득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쿠팡 플레이는 쿠팡이 OTT 확장을 목적으로 하는 것보다는 쿠팡 와우 회원에게
조금 더 부가적인 혜택을 주는 목적이 더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상당수의 기사들에서는 “아마존의 프라임 비디오처럼 시청자를 커머스 생태계로 끌어들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리고 애플의
경우는 애플의 iOS를 기반으로 하는 자사의
수많은 기기가 있기 때문에, 애플 브랜드를
선호하고 애플 브랜드라면 얼리어답터처럼 행동하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고 수요가 높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애플 콘텐츠를 보기 위해 애플 기기를 구매하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ott적 측면으로 봤을때는 이미 수많은 오리지널 콘텐츠를 확보한 넷플릭스에 대항하기에는 쉽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애플 전체 브랜드로 봤을때는 득일 수도 있겠지만 ott자체적으로
평가할때는 실이라고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카카오의 경우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카카오톡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라 ott로 인해 카카오톡이나 카카오 어플들의 사용이 증가한다고 볼 수 없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3년간 3000억을 투자해 만들 ott라고 보기에는 홍보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미숙하다. 현재 카카오페이지에서 적용하고 있는 기다리면 무료의 반대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유료가 되고 그 콘텐츠를 다시 보기위해서는 편당 500원 정도의 요금을 내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이 과연 많은 사람들의 수요와 관심을 끌기에 적절한 방식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현재로써는 자사 플랫폼을 홍보할 수 있는 적극적인 마케팅이 더 시급해보인다는
생각이 들었다.
법칙은 리더십의 법칙에서 재원의 법칙까지 총 22개의 마케팅 법칙을 다루고 있다. 원하는 분야나 생각나는 브랜드를 떠올리며 읽었더니 생각보다 단숨에 읽게 되었고, 마케팅적인 사고를 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나는 22개의 법칙 중 라인 확장 법칙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처음에는
수익성이 아주 높은 하나의 제품에 단단히 초점을 맞춘다. 그러다 다음 순간 단단하던 집중력이
여러 제품으로 분산되고 그 회사는 손해를 입는다. 분명한 사실은 어떤 영역 이건 리더 브랜드는
라인 확장을 시도하지 않은 브랜드다. 미래에 우리가 들어가고 싶어할 가능성이 있는 시장까지
죄로 아닐 수 있는 큰 천막에 지어야 하지만 천막을 세울 지역을 고르는 일 이 훨씬 더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내가 관심있게 보는 OTT시장에
비교분석해 보기로 했다. 현재 OTT시장의 경쟁이
매우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카카오는 3년간 3000억을 투자해 카카오 OTT를 확장할 예정이며, 애플도 애플TV플러스, 심지어는
쿠팡까지도쿠팡플레이를 통해 OTT를 출범시켰다. 카카오, 애플, 쿠팡의 이러한 라인확장은그들에게 득일까? 실일까? 이들이 OTT 계의 1등을 달리고 있는 넷플릭스를 이기기 위해서는 어떠한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해 고민해보게 되었다. 일단 쿠팡
플레이에 경우는 그들에게 득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쿠팡 플레이는 쿠팡이 OTT 확장을 목적으로 하는 것보다는 쿠팡 와우 회원에게
조금 더 부가적인 혜택을 주는 목적이 더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상당수의 기사들에서는 “아마존의 프라임 비디오처럼 시청자를 커머스 생태계로 끌어들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리고 애플의
경우는 애플의 iOS를 기반으로 하는 자사의
수많은 기기가 있기 때문에, 애플 브랜드를
선호하고 애플 브랜드라면 얼리어답터처럼 행동하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고 수요가 높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애플 콘텐츠를 보기 위해 애플 기기를 구매하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ott적 측면으로 봤을때는 이미 수많은 오리지널 콘텐츠를 확보한 넷플릭스에 대항하기에는 쉽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애플 전체 브랜드로 봤을때는 득일 수도 있겠지만 ott자체적으로
평가할때는 실이라고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카카오의 경우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카카오톡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라 ott로 인해 카카오톡이나 카카오 어플들의 사용이 증가한다고 볼 수 없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3년간 3000억을 투자해 만들 ott라고 보기에는 홍보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미숙하다. 현재 카카오페이지에서 적용하고 있는 기다리면 무료의 반대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유료가 되고 그 콘텐츠를 다시 보기위해서는 편당 500원 정도의 요금을 내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이 과연 많은 사람들의 수요와 관심을 끌기에 적절한 방식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현재로써는 자사 플랫폼을 홍보할 수 있는 적극적인 마케팅이 더 시급해보인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