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어감사전 (말의 속뜻을 잘 이해하고 표현하는 법)

  ‘아는 게 많아지면 세상을 보는 해상도가 올라간다’라는 말이 있다. 똑같은 풍경을 보더라도 꽃이 많이 피었다. 와 가을이라 금목서가 한가득 만개했구나. 는 확연히 다른 차이를 보인다. 작품만 보는 것 보다 작가의 삶과 특징, 기법 등을 알고 감상하면 더욱 인상 깊어지는 것과 같다. 글도 마찬가지다. 아는 단어가 많아질수록 그 단어만이 가지고 있는 말맛을 깨닫게 된다. 에둘러 말해야 하는 일을 한 단어로 설명할 수 있고, 말의 재미와 운율을 넣어 멋있는 문장도 만들 수 있다.
그렇기에 좀 더 단어가 가진 어감이나 맥락, 차이들에 대해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단순히 추상적인 의미로만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명료하게 표현하고 싶다고 느꼈다. 하지만 국어사전을 찾아봐도 명쾌한 답을 찾기는 어려웠다. 대부분의 국어사전이 유의어를 동의어로 정의하거나 순환 정의에 빠져있기 때문이다. ‘과실’과 ‘과일’을 동의어로 정의하거나, 모습의 정의를 ‘사람의 생긴 모양’으로. 모양의 정의를 ‘겉으로 나타나는 생김새나 모습’ 등으로 정의한다. 결국 차이를 밝히는 일은 포기한 채로 그때그때 감각에 맞춰 쓰곤 했다. 그러다가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 책은 단어의 속뜻과 어감을 살펴보는 책이다. 그동안 감에만 의존해 왔던 단어를 더욱 이성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돕는다. 과일이나 과실, 참견이나 간섭, 사실과 진실 등의 90가지 유의어/혼동어를 묶어 비교하고 대조했다. 첫 문단은 단어와 연관된 이야기나 사례를 예로 들어 독자의 흥미를 끈다. 그 후 각 단어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니는지 설명한다. 주로 사용되는 방식을 보여주며 실제 문장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예문을 통해 이해를 돕는다. 가장 흥미롭게 읽었던 파트는 촉각과 감촉과 촉감의 차이였다. 촉각은 피부의 감각 기능을 뜻하는 말이라면, 물체에 접촉했을 때 피부가 실제로 느끼는 감각은 ‘감촉’ 또는 ‘촉감’이다. 또 ‘감촉’과 ‘촉감’도 더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감촉은 어떤 물체가 피부에 닿는 것을 느끼는 일을 가리키고, 촉감은 어떤 물체를 피부에 접촉하여 어떠한 느낌을 가지게 되는 일을 가리킨다. 곧, 능동과 수동. 비의 도성과 의도성인데 이는 예문으로 확인하면 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 뺨을 스치는 바람의 감촉이 상쾌하다.
나: 한번 만져보세요. 촉감이 달라요.
  이렇듯 우리말 어감 사전에는 90가지가 넘는 단어들의 속뜻을 풀이해 주고 있다. 이를 통해 독자는 감에 의존하지 않고 상황에 맞는 적확한 단어를 고를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정도의 사소한 차이는 소통하는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한국어가 모국어라면, 맥락상. 뉘앙스상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서 들어가는 글에서 이야기했듯이, 단어의 세부 차이와 말뜻을 구분할 수 있다면 바라보는 세상도, 표현할 수 있는 글의 범위도 넓어질 수 있을 것이다. ‘방랑’과 ‘유랑’의 차이를 아는 것과 같이 말이다. 무엇이 다른지는 직접 책에서 찾아보길 추천한다.

기술의 서 (캐릭터 일러스트 창작의 열쇠)

유명한 일러스트레이터 사이토 나오키의 책이다. 이 책에서는 그림에 그릴 수 있는 기본적인 지식보다는 이른바 꼼수에 대해서 적혀 있다. 잘 못 그리는 부위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보통의 사람들은 그 부위에 대해서 연습해서 그려내세요,라고 말하지만 사이토 나오키는 다르다. 잘 된 그림을 완성하기 위해서라면 그럼 부위는 좀 안 보이게 가려 놔도 된다. 하지만 일을 자연스럽게 해야 된다. 하면서 그에 대한 훌륭한 요령을 알려준다. 그 외에도 얼굴을 예쁘게 그리는 법 매력적인 퍼즐을 그릴 수 있는 구도법 캐릭터 계정에 따른 다양한 채색법까지 실제 일러스트레이터를 목표로 하는 학생들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책이었다.

사이토 나오키의 일러스트 첨삭 레슨 Before & After

이 책은 실제 사이토나우키 작가의 YouTube에서 사람들이 공모한 작품에 대해서 피드백한 내용이다. 나보다 실력이 더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들이 응모하였고 여러 가지 수준의 그림을 다양하게 조언해 주는 내용이 담겨 있다. 초보라면 할 수 있는 사소한 실수에서 중급 아마추어들이 프로로 넘어가기 전 헤매는  많은 구간까지. 여러 단계 사람들의 여러 가지 문제점과 그것에 대한 조언을 살펴보니 내가 스스로 알아서 깨달은 것도 있고 또한 내가 여태껏 깨닫지 못해 이번 기회를 통해서 알게 된 사항도 있었다. 남의 그림을 첨삭하는 것을 보는 것밖에 없었지만 그만큼 내게도 많이 도움이 된 책이었다.

웹툰 작법서

이번 학기 나는 이번 수업에서 만화창작 이라는 수업을 들었다. 이 수업은 직접 웹툰을 만들어보는 수업이다. 스토리를 짜고 글콘티, 그림 콘티, 추후  완성본까지 실제 웹툰 작가라도 된 듯 웹툰을 만드는 수업이다. 이 수업에 훌륭한 과제물을 내고 싶은 욕심이 생겨 웹툰 작법서를 알아보았다. 좋은 웹툰은 무엇일까? 재밌는 웹툰이란 무엇일까? 연출이란 무엇일까? 등의 답변과 함께, 웹툰 작가라면 꼭 알아야 하는 기본 연출과 활용법까지! 완성도 높은 웹툰을 만들기 위한 필수 지침서라고 할 수 있었다

앤드류 루미스 인체 드로잉

그림에 대해 미숙한 초보자라면 인체를 그리는 데 두려움을 느끼기 쉽다. 그러나 앤드류 루미스는 인체를 그릴 때 저지르기 쉬운 실수를 지적함과 동시에 정확한 정보를 알려줘, 초보자들에게 이해가 가기 쉽도록 이 책을 만들었다. 또한 해부학 지식까지 포함한 내용이므로 좀 더 확실하고 인체공학적인 내용이 담겨 있다.
겉으로 드러난 형태만을 그리는 것이 아닌 내부의 근육 뼈 내 위치를 고려하며 더 정확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안내해 두었다.

앤드류 루미스 두상과 손 드로잉

사람을 그릴 때 사람을 그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얼굴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그림이 아니더라도 사람을 마주 볼 때 얼굴에 대부분 시선이 간다. 얼굴 중 특히 눈 그 다음이 입, 그 다음 코 순서대로 얼굴에  관심이 간다. 따라서 그림을 그릴 때에도 얼굴 인상 표정에 대한 중요도가 매우 높은 편인데 앤드류 루미스의 이 책은 인간의 두상을 그리는 법 표정을 그리는 법 앵글에 따라서의 인체 변화에 대해서 자세히 적혀져 있다. 또한 ‘작가의 그림 내공을 알아보라며 손을 봐라’ 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손 또한 중요하게 여겨진다. 앤드류 루미스는 중요하게 여겨지는 얼굴과 손 이 두 가지에 대한 설명서로 알기 쉽게 그림에 완성도를 더 높일 수 있는 작법서를 내놓았다

마사토끼의 만화 스토리 매뉴얼 1

2편을 다 읽은 후, 1편을 빌렸다. 여기서야말로 스토리를 짜는 법에 대한 내용이 있을 거라 생각했으나… 이번에는 데뷔한 작가가 아닌, 웹툰작가 지망생들을 위한 매뉴얼에 가까웠다. 스토리를 짜는 구체적인 방법보다, 스토리를 짜고 그리던 중 다른 소재가 떠오르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어떻게 회사에게 자신의 작품을 어필할 수 있는가. 무 수입 상태의 공백은 어떻게 메꿔야 하는가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었다. 원하는 내용은 아니었지만, 지망생에 가까운 내게 2편보다도 직접적으로 도움이 된 책이었다. 

마사토끼의 만화 스토리 매뉴얼 2

1편을 누군가 이미 빌렸어서, 공교롭게도 2편부터 읽기로 하였다. 나는 스토리 작법을 알고 싶었으나, 이 메뉴얼 2편은 웹툰작가로서의 요령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웹툰작가로서 활동할 때 정신건강을 관리하는 방법, 무료 웹툰을 유료화 시키는 것에 대한 이점, 장르에 따른 웹툰의 차별성 등 시제 마사토끼(작가)가 겪은 웹툰작가로서의 고충을 적나라하게 적어두어 추후 웹툰작가로 장래희망을 정하게 될시, 길이 길이 도움이 될 듯 하였다. 

김락희의 선화 드로잉 vol 2

김락희의 선화 드로잉 vol 1편보다 좀 더 심화 과정인 내용이다. vol 1편의 그림도 전부 그리진 못했으나, 최선을 다해 이론은 읽었다. 학기가 지나가며 과제도 많아지고 시간도 없어져 중간중간 포기할까 고민이 되기만 했지만, 그림 실력을 높히겠다는 생각으로 책에 실린 그림을 최대한 모작해보았다. 전보다 섬세한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어 뿌듯하다.

김락희의 선화 드로잉 vol 1

기본적인 사람의 인체를 <김락희의 인체 드로잉>에서 익혔다. 그러나 도형화만으로는 사람을 잘 그릴 수 없다. 사람은 자유롭게 움직이고, 많은 자세를 취한다. 따라서 도형화로만 이루어진 딱딱한 인체보다는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생활하는 모습을 그리는 것이 훨씬 퀄리티 높은 작업이다. 따라서 인간의 동세에 대해 잘 알기 위해 이 책을 따라 빌려 읽었다. 김락희만의 이해하기 쉬운 팁과 설명으로 동세에 대한 이해를 높힐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