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나만의 답
나는 책(특히, 에세이)을 보면서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것들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에 옮기는 것이 힘든 감이 있고 부족했던 것 같다. 이 책은 트레이닝 방법을 제시해주고 있어서 꾸준함만 있다면 미래에 더 성숙해진 나를 발견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읽어보게 되었다.
책의 3장 ‘삶을 변화시키는 질문을 던지다’ 부분을 읽으면서 뜨끔 찔렸다. 그동안 선생님이나 의지가 되는 친구, 엄마에게 했던 질문은 다 나를 자책하는 질문이었으며, 질문을 한 것이 아니라 답을 내가 아닌 다른 사람으로부터 구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예전에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현재의 막막함으로 인생에 답이 정해져있기를 바랐던 것이 부끄러웠다.
책의 5장 ‘시인의 눈으로 사물을 바라본다’ 부분은 저자가 경험을 바탕으로 확립된 돈에 대한 철학을 밝히고 있었다. 이는 남 잘되는 일을 생각하고 행동하면 돈이 자연스레 따라온다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기적인 마음이 더 커서인지 이 부분에 관해서는 크게 공감이 되지 않았다. 남 잘되는 일을 생각하고 행동하다가 손해 본 일이 더 많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그리고 ‘자연을 관찰하며 삶의 이치를 깨우친다’ 부분에서 상황이나 관계로 혼자 상처받으며 지친 나에게 위로를 주는 구절이 있었다. 이는 저자가 어머니로부터 들었던 말들이다. “바다가 왜 바다인줄 알아? 세상 모든 물을 다 ‘받아’줬기 때문이야. 모든 물은 흘러 흘러 바다로 온단다. 똥물도 강물도 모두 바다는 받아주지.” , “힘든 일도, 괴로운 일도 모두 받아낼 수 있는 그런 사람 말야.” , “파도가 크게 이는 날 바다는 확 뒤집어지잖니. 우리가 보기엔 위태위태하지만 그 과정에서 바다는 스스로를 정화시킨단다. 그러니 시련이 널 바닥으로 이끈다고 해서 두려워하지 마.” 이 구절들을 보고 힘든 상황들을 파도로 생각한다면 조금이나마 마음을 안정시킬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시된 인문학 트레이닝에서 ‘사실과 생각구분하기’는 꾸준히 한다면 스트레스 관리나 인간관계 속에서 나를 옥죄는 느낌을 떨쳐버릴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생각해보면 일어나지도 않을 일, 그 사실에 대한 나의 느낌과 판단으로 내 감정을 시달리게 했던 적이 너무 많았다.
그리고 ‘언행일치 모델링’은 현재 시점에서 나에게 가장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던 인문학 트레이닝이다. 운동을 바쁘다는 핑계로, 잠 좀 더 자자라는 핑계로 하지 않은지 한 달 반이 지났다. 앞으로 30일 반복 트레이닝을 성공해서 나=자신감이라는 연상도 하고, 언행일치하는 나를 발견함으로 나 자신에게 실망하지 않고 싶다.
이 책을 읽으면서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나 현재의 막막한 감정들 때문에 인생에 답이 정해져있기를 바랐던 나를 반성하게 되었다. 나만의 생각으로 답을 만들어 보려고 하지 않고, 나 자신의 기준도 명확히 잡지 못했으면서 누군가를 부러워하고 질투하며 나는 왜 이럴까만 한탄했었기 때문이다. 나 자신을 안다는 것은 사실 아직 어렵게 느껴지지만 마주하는 상황 등을 통해 나의 감정에 집중하여 나만의 기준과 목적을 설정하고, 이를 이룰 수 있는 내가 되고 싶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