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 스카이
나는 옐로에 화이트에 약간 블루 2 (다양성 너머 심오한 세계)
실용주의 프로그래머(20주년 기념판)
인간 실격
어린 왕자
아주아주 어릴 적 읽었던 <어린왕자>를 20살이 되어 독서토론 활동을 위해 다시 읽었다. 그때는 미처 이해하지 못했던 내용들이 이제서야 감명깊게 다가오는 짜릿한 경험을 했다. <어린왕자>를 다시 읽으며 나는 어린왕자와 조종사의 관계에 더욱 집중한 것 같다. 어릴 적 가지고 있던 동심을 어른들에게 외면당하며 어느새 그 시절을 까마득하게 잊어가고 있던 조종사가 어린왕자를 만나 성장하는 모습이 인상깊었다.
또, 초반에 나오는 구절 중에 나의 눈길을 사로잡은 부분이 있었다. “어른들은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고, 어린이들은 그들에게 언제나 설명을 해주어야 해서 피곤하다.”라는 말이었다. 이것이 책을 본격적으로 읽기 전, 앞으로 전개될 <어린왕자>를 미리 들여다보기에 가장 좋은 부분이 아닐까 생각한다. 보통은 ‘아이들은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고, 어른들은 그들에게 언제나 설명을 해주어야 해서 피곤하다’라고 생각하기 마련이니 말이다. 그 보통의 생각을 뒤엎으며 아이들의 입장이 되어보도록 만든다. 우리는 누구나 어린이였던 순간이 있었지만 어린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나 또한, 어릴 적 부모님과 말이 통하지 않아 답답해하다 화를 낸 적이 있다. 나의 생각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의 이런 경험도 앞서 언급한 구절을 읽은 후에야 어렴풋이 떠올랐던 것이다. 왜 우리는 어릴 적을 기억하지 못하고 어린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일까. 이 책을 읽으며 이러한 물음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해보게 되었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순수하고 창의력 넘치는 아이들이 이렇게 된 것은 환경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했다. <어린왕자> 속에서 지리나 역사, 산수, 문법에 신경쓰라고 충고하는 어른들과 같이, 현실에서 아이들을 한데 모아 똑같은 지식을 집어넣는 사회와 같이, 아이들을 대하는 방식이 틀에 갇혀있지 않은 아이들의 창의력과 자유로움을 가두고 획일화시키는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런 점에서 이번에 다시 읽은 <어린왕자>가 조금은 무겁게 느껴지기도 했다. 올해 20살을 맞이한 만큼 나 역시도 좋은 어른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해보게 되었고 책임감을 느낄 수 있었다. 조종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라는 가르침을 준 어린왕자처럼 아이들이 어른보다 더 훌륭한 생각과 깨우침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되새기며 그러한 아이들의 힘을 지켜줄 수 있는 어른이 되겠다는 다짐을 해본다.
읽을 때마다 각기 다른 부분에 집중해서 읽을 수 있는 책이라 여러 번 읽을 수록 좋은 작품으로 다가올 것 같다. 모두 한 번 더 읽거나, 아직도 어린왕자를 읽지 않았다면 꼭 한 번 읽기를 추천한다.
실용주의 프로그래머(20주년 기념판)
화이트 스카이
삶의 격 (존엄성을 지키며 살아가는 방법)
클린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구조와 설계의 원칙 (살아있는 전설이 들려주는 실용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원칙)
클린 아키텍처로 독서클럽을 하고나서
개인적으론 전부터 꼭 읽어보고 싶었던 책이었습니다. 다만, 좋은 기회가 주어져 이 책으로 독서클럽을 할 수 있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앞으로 어떤 설계구조를 갖고 개발을 해야할지에 대해서 더욱이 깊게 생각해볼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실제로 개발을 진행하면서 어디서부터 코딩을 먼저 진행해야하고, 그리고 어떤 구조로 설계해야 유지보수도 쉽고, 변경성에 덜 민감할까에 대해서 많이 고민하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통해 어느정도 기준을 잡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