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저자님께서 미술관에서 작품을 볼때 지식으로 작품을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감각으로 감상해야 한다는 말씀이 와닿았다. 새로운 감각이란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책을 읽으면서 기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방구석 미술관 2 (가볍게 시작해 볼수록 빠져드는 한국 현대미술,한국)
처음 ‘저자와의 만남’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을 때에는 아무 생각없이 비교과 점수나 채우자 라고 생각하고 신청하였습니다. 하지만 강연을 듣기전에 이 책을 읽어보니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단순히 미술에 대해 소개하는 책이라고 생각하였는데, 여러 우리나라의 화가들의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에 대해 읽다보니 점점 빠져들며 정말 흥미롭게 끝까지 읽었습니다. 또한 강연 마지막에 ‘미술관은 지상 유일하게 자유로운 상상놀이를 마음껏 할 수 있는 지적 놀이터!’라는 말이 인상깊었습니다.
방구석 미술관 2 (가볍게 시작해 볼수록 빠져드는 한국 현대미술,한국)
미술관은 직접 가서 미술 작품을 볼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이 저의 생각은 잘못된 생각은 아니지만 편협한 생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미술 작품이 살짝 어렵다면 저에게도 어렵다고 느끼고 보지 않고 지나가는 저의 과거 행동이 지금 와서는 후회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사소한 것이라도 지나쳐서 후회가 없는 삶을 살기 위해 살짝 어려운 미술 작품을 만나게 되더라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미술 작품의 설명을 읽으면서 미술 작품을 이해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방구석 미술관 2 (가볍게 시작해 볼수록 빠져드는 한국 현대미술,한국)
우리가 모든 걸 처음 접할 땐 어색했지만 익숙해지면 괜찮은 것처럼 미술도 익숙해져야 재미있다는 말에 공감했다. 또한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을 들었을 땐, 내가 많은 걸 경험하고 느껴야 무언가를 접해도 얻을 게 많다는 걸 의미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강의를 하시면서 아는 만큼’만’ 보일 수 있다는 말을 듣고 더 열린 사고를 지녀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방구석 미술관 2 (가볍게 시작해 볼수록 빠져드는 한국 현대미술,한국)
평소 전시회를 다니는 것도 즐기고, 예술 작품에 관한 설명을 듣는 것도 매우 좋아한다. 하지만 충분한 배경지식을 알지 못하는 작품이나 특히 현대미술의 경우 그 이해와 감상의 방법에 대해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지식을 대입하여 이해하려는 것은 사실상 감상이 아니라는 작가님의 말씀은 큰 깨달음을 주었고, 앞으로 미술 작품에 대해 좀 더 가벼운 마음으로 다가갈 수 있겠다는 생각을 들었다.
방구석 미술관 2 (가볍게 시작해 볼수록 빠져드는 한국 현대미술,한국)
방구석 미술관2에 관련된 저자와의 만남 강연을 듣고 난 이후..먼저 미술을 설명하며 가장 유명한 작품인 모나리자를 보여주었는데 미술에 관심이 생기게 도와주는 강연 이었던 거 같다. 평소 미술에 관심이 크게 있지는 않았지면 미술을 어떻게 봐야하는지 나중에 혹시라도 유용한 정보 팁등 을 얻은거 같다. 무언가를 봤을 때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백지화 시키고 새로운 느낌을 창조 시켜야 한다고 제대로 배운거 같다.
방구석 미술관 2 (가볍게 시작해 볼수록 빠져드는 한국 현대미술,한국)
우선 그냥 ppt를 보면서 딱딱하게 하는 지루한 강의가 아니여서 다행이었다. 좋은 텐션과 함께 사진 위주의 ppt 진행으로 강연을 보면서 지치지 않았다. 평소 그냥 그러려니 했던 여러가지 한국 미술들을 재밌게 잘 알 수 있어서 유익한 시간이었다.
방구석 미술관 2 (가볍게 시작해 볼수록 빠져드는 한국 현대미술,한국)
주로 미술품들을 볼 때는 기법이나 어떤 시대의 양식인지 등등 학교나 책에서 배운 내용들을 생각하며 보았다. 이 강연을 듣고 기존에 하던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떠올려 대입하며 보는 것은 감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푸는 것과 다름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미술작품들을 느낄 때에는 감각이 중요하며 감각에 집중하여 스스로 새로운 생각과 느낌을 창조하는 감상법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구석 미술관 2 (가볍게 시작해 볼수록 빠져드는 한국 현대미술,한국)
저는 미술관에 갈 때마다 어떤 관점으로 작품을 감상해야 하는지 의문을 가진 적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 강의를 듣고 지식이 아닌 감각을 사용하여 감상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미술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었고 미술과 친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방구석 미술관 2 (가볍게 시작해 볼수록 빠져드는 한국 현대미술,한국)
미술이란 일반인들에게 참 어려운 주제 같다. 이해하기 힘들고 어떻게 보면 너무 사람들이 과대평가 하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또한 했었다.
하지만 나에게 그 관념을 깨주었던 경험이 있다. 바로 유럽 여행이였다.
18년에 군대 가기전 마지막으로 즐겨보자는 경험으로 유럽여행을 다녀왔다. 물론 축구를 좋아해서 유럽여행을 선택했지만 같이 갔던 친구가 미술을 좋아해서
같이 박물관에 가게 됐다. 그중에 대영박물관에 가서 처음으로 미술에 대한 압도감을 느끼게 되었다. 책이나 pc,스마트폰으로 보던 그림을 실제로 보니 정말 소름이
돋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나에겐 신선한 충격이였다. 그런 좋은 기억이 생기고 나서 부터 은근 찾아보게 됐다.
또 코로나 때문에 해외로 나가지를 못하니 한국의 미술에 대해 관심이 가기 시작했다. 그런 타이밍에 이런 강의를 보게 되어서 너무 영광이였다. 나처럼 미술의 미자도 모르는 공대생도 나름 쉽게 접근하게 해주어서 앞으로 한국 미술에 대한 관심도가 올라갈거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