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사용설명서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친화력으로 세상을 바꾸는 인류의 진화에 관하여)
눈먼 자들의 도시 (100쇄 기념 에디션) (100쇄 기념 스페셜 에디션,주제 사라마구 장편소설,Blindness)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악의 평범성에 대한 보고서,한길그레이트북스 81)
2021년 동계방중 독서클럽을 계기로 접하게 된 책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명저인 한나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다. 독서클럽 활동을 위해 책을 선택할 때, 책을 통해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문제를 인식하고, 올바른 사회적 인식을 형성해 볼 수 있는 활동을 진행하면 의미가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현대 사회의 사회적 인식의 문제점과 연결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을 선정하고자 했다. 그러던 중, 우리 사회에서 범죄가 발생하면 “범죄자의 성향이 사이코패스일 것이다” 혹은 “관상이 범죄자 상이다”라고 말하는 경향을 흔하게 찾아볼 수 있었다. 실제로 현대 사회에서는 범죄를 일으킨 자들에 대한 공통점을 만들어 이들을 “원래부터 그러한 존재”로 인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물론, 정말 예외인 상황도 있겠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 보면 범죄를 저지른 자들이 이전에는 평범한 삶을 살던, 너무나도 평범한 존재였던 사례인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들을 보면서 악이 정말 독특한 배경을 가진 이들에게서만 나오는 것일까와 악을 “평범한” 우리와는 전혀 상관없는 일로 섣불리 치부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과 동시에 사회에서 사람들이 범죄와 범죄자를 바라보는 인식의 문제점을 느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려해서 우리에게 배움을 줄 수 있는 책을 찾고자 했고, 악은 평범한 곳에서부터 나올 수 있다는 “악의 평범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한나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라는 책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읽게 되었다.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은 아이히만이 이스라엘로부터 아르헨티나에서 납치되어 예루살렘 법정에 서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통해 나치 집권 당시 독일의 상황과 그 시기 유대인을 향한 차별 정책부터 이후 강제 추방, 수용, 학살로 이루어지는 역사적 흐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유대인 학살에 도움을 주었던 유대인 장로 등 유대인 고위층의 폐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 따끔하게 지적하기도 한다. 그리고 아이히만이 친위대로서의 일대기와 이후 예루살렘에서의 재판 과정을 통해 이 책의 핵심 내용인 “악의 평범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특히 이 책의 초반부터 한나 아렌트는 ‘무사유’의 위험성에 대해 계속해서 언급한다. 여기서 말하는 무사유는 ‘스스로 사고하고 그에 따라 행동할 줄 아는 능력’을 뜻한다고 생각하는데, 개인적으로 초반에는 명확히 이해가 가지 않는 이 표현이 아이히만의 일대기를 보면 볼수록 무사유의 의미와 위험성에 대해 알아가는 재미가 있었다. 이러한 무사유는 아이히만으로부터 악의 평범성이 나오게끔 하는데 가장 크게 작용한 요인으로써 ‘악의 평범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용어이다. 이러한 무사유라는 표현을 계속 언급하는 것을 보아서 한나 아렌트가 독자들에게 무사유의 위험성을 알리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처럼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통해 나치 집권 당시 유대인 관련 문제에 대한 독일의 모습과 아이히만이라는 인물의 특성은 현대 한국 사회의 모습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는 경우들이 있다. 먼저, 나치 집권 당시에 독일 내 유대인들에 대한 혐오감이 만연했던 것처럼 현재 한국 사회에서도 특정 인물에 대해 혐오하는 문화가 사회 곳곳에 자리잡고 있는 상황이다. 대표적으로, 자신이 개인적으로 좋아하지 않은 집단 등에 대해 혐오성 악플을 달거나 ‘충(蟲)’이라는 표현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유대인 학살을 ‘최종 해결책’으로 바꿔 썼던 것처럼 아직도 현대 사회에서 정당하지 못한 행위를 대체하는 언어 규칙을 만들어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누군가를 해고할 때(물론 해고가 무조건적으로 부정적인 행위라고 볼 수는 없으나), 해고가 아닌 경영 합리화라는 표현을 쓰는 것도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현대 한국 사회에 책에 나타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책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의 내용과 책 안에서 지적하는 문제점과 한국 사회를 비교하여 바라볼 때,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비슷한 형식이라 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물론, 나치의 사례와 아이히만의 사례는 너무나도 비극적이고, 극단적이라는 점에서 현대 한국 사회의 문제와 완벽한 궤를 이룬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나치 집권 당시 독일의 상황과 아이히만의 사례와 유사한 현대 한국 사회의 문제를 통해 제2의 아이히만이 나타날 수 있는 출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잘못된 혐오문화나 언어규칙 문화 등을 당연시 여기거나 이를 통해 자신의 부적절한 행동을 합리화하는 행동의 그릇됨과 위험성을 알고 이러한 문제들에 휘말리지 않도록 올바른 관점을 형성할 필요가 있겠다고 느꼈다. 나아가 무엇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사고하고 그에 따라 행동할 줄 아는 능력을 기름으로써 아이히만과 같은 무사유의 상태를 사전에 방지해야 제2의 아이히만과 같은 악의 평범성의 사례가 또 다시 나타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고 본다.